동화작가 김정미의 창작놀이터

 

 

# 이것이, 건강한 밥상

 

한살림에서 잡지를 만드는 SJ 언니네 집에 갔더니, 이렇게 한 가득 상을 차려줬다.

 

작년 겨울, 반 지하 미아동 방에서 함께 몇 개월을 보냈던 나의 '룸메'.

이런저런 소소한 대화들을 통해 마음을 나눈 언니와 나. 올해 3월, 갑작스레 대구로 내려가면서 내가 살던 자취집에 언니가 남아있게 됐다. 세탁기, 냉장고 같은 물건들을 다 빼버리는 바람에 아무것도 없이 혼자 살았다. SJ 언니에게 얼마나 미안하던지. 그런데도 잘 버티어 주었다. 그리고 얼마 전에 망원동 다세대 주택에 전세로 들어갔다. 요즘 나는 서울에만 가면 언니네서 머물고 있다.

 

언니가 살고 있는 집에는 옥탑이 딸려 있는데 그 곳을 페인트칠 한다고 했다. 도와주러 갔는데 언니가 고생한다며 밥을 차려줬다. 치과의사 NH 언니도 함께 있었다. 우리 세사람이 먹을 밥상이 이렇게 차려졌다.  언니가 한살림 장터에서 구입한 건강한 재료로 이렇게 상을 차려줬다. 망원동 시장에서 샀다는 '땡감'도 자리를 잡았다. 언니가 만드는 잡지를 넣어 사진을 찍었더니 화보가 따로 없다.

 

 

 

# 우리의 인연은,

 

우리는 '프레시안 글쓰기' 모임에서 만났다. 언론사 프레시안에서 다양한 강의를 했는데, 그중 <나를 위한 글쓰기>라는 강좌를 들었다. 강사는 이문재 시인님이셨다. 서너 해 전의 일이다. 음, 아마 2011년도의 일인 듯 싶다.

 

강의에는 다양한 분들이 오셨다. 재래시장에서 두부를 만드는 분, 119 소방대원, 대학생, 대학원생, 고등학생, 주부, 화가 등등. 우린 꽤나 '합'이 좋았다. 그때 SJ 언니는 한살림에서 잡지를 만들고 있었고, NH 언니는 치과의대생이었고, 나는 모 협회에서 신문을 만들고 있었다. 시간이 흐른 후, 여전한 건 SJ 언니. NH 언니는 치과의사가 됐고, 나는 대구에 내려왔다. 아참, 뭔가 '되었다'는 걸 기준으로 삼자면, 그래, 작가가 되었다.

 

함께 글쓰기를 들었던 사람들은 지금도 종종 만나고 있다. 처음엔 일 년에 서너 차례 만나던 게 일 년에 한 번 꼴로 줄었다. 그런데도 만나면 반갑고 참 좋았다. 나는 작년 겨울 모임에 참석하고 못 갔다. 얼마 전에 우리의 스승님 이문재 시인님이 신간 시집을 펴내서 '독자와의 만남' 행사를 했는데, 그때 '번개'를 했다. 하지만 나는 대구에 있어 못 갔다.(정확히는 서울에 올라갔지만 일이 바빴다.) 사진을 보는데 참 좋아보이더라. 이문재 시인님의 꾸밈없는 진솔한 태도(그러면서도 거들막거리지 않는)를 알기에 절로 미소가 지어졌다. 참 좋으신 분이다.

 

# 프레시안 글쓰기 수업, 그리고

 

수업 첫 날, 자기가 쓴 작품 중 뭐든 하나를 들고 오라 하셨다. 나는 '뭐를 들고 갈까' 하다, 아버지가 간암으로 돌아가실 적에 느꼈던 감정이 적힌 에세이를 들고 갔다. 사실, 뭐 하나 변변하게 써둔 게 없었다. 수업 시간, 선생님이 내 글에 대한 느낌을 이야기하기 전, 대뜸 "소설 써본 적 없냐? 없으면 당장 써라" 라고 말씀하셨다. 그때 감정이 잊히지 않는다. 마음속에 뭉클한 뜨거운 게 치솟는 기분. 그 감정이 지금까지 날 끌고 왔다.

 

사실, 내가 이 수업을 택한 이유는 따로 있었다. 나에게 작가로서의 싹이 있는지 확인하고 싶었던 거다. 이 수업을 받기 전, '영화 평론 수업'을 들었는데, 손톱만큼의 싹도 없다는 걸 알게 됐다. 그래서 중간에 하차했다. 나는 그냥 '고급 독자'로 남아야겠구나, 싶었다. '고급'이 아니면 '저급'이어도 되니 그냥 '보통의 독자'가 되어야겠구나, 했다. 그리고 이제와서 하는 말인데 '평론'이라는 게 굉장히 철학적이고 사유가 깊어야 한단 것을 깨달았다. 모든 창작이 그러하겠지만, 평론은 좀 다르다. 자신만의 철학과 사회에 대한 깊은 통찰로 '정의'를 내려야 한다. 작품을 평해야 한다. 그게 조금은 폭력적으로 느껴졌고, 자신이 없어졌다.

 

20대 중반, 사회초년생으로 발을 내딛으며 '동화'를 쓰고 싶단 생각을 했다. 그러다 잊혀졌다. 그런데 또 생각이 났다. 그래서 이 수업을 들으며 확인하고 싶었다. 커리큘럼이 빽빽한 부담스런 수업이 아니었기에 가벼운 마음으로 수강 신청했다. 그리고 시인님께 소설을 써보란 이야기를 들었다. 나에게 싹이 있는 것 같아 기뻤다. 그래서 이후로 작가의 꿈을 꾸게 됐다. 그렇게 나는 작가가 됐다.

 

인생을 오래 산 것은 아니지만 돌이켜보면 인생의 '터닝 포인트'가 되는 순간들이 있어왔던 것 같다. 그런데 그땐 몰랐다. 알고 싶어 발버둥을 쳤는데, 그런데도 몰랐다. 오히려 그땐 힘들었던 일이 지나고 나니 '전화위복'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하나의 감정에 압도 당하면 누가 뭐래도 잘 안 들리고 어떤 생각도 나지 않는 법이다. 그래서 지나고 나야 아는 것이다.

 

젊을 적부터 늘 궁금했다. '어떻게 하면 꿈에 가까워질 수 있지?' 이런 고민을 하다, 멘토가 있었으면 했다. 언젠가부터 세상을 떠들썩하게 흔들었던 '멘토'. 모두들 젊은이들에게 멘토를 만들라 하였는데, 내겐 멘토가 없었다. 그게 좀 부끄럽고 서글펐다. 그런데 지나고보니 멘토란 거창한 사람이 아니었다. 주변에서 늘 나를 지켜봤다가 코치하고 가르쳐주는 사람이 아니었다. 내가 만나는 한 사람, 한 사람이 내겐 멘토였다(아닌 경우도 있었지만).

 

밥상 이야기를 하려다 말이 길어졌다. 나의 글쓰기는 대부분 그러하다. 이런 글쓰기 역시 '나를 위한 글쓰기' '힐링 글쓰기'가 아닐까 한다. 비우고 나니, 오전이 가볍다.

 

 

 

 

 

 

'꿀잼라이프 > 재잘재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0원의 행복, 국수 한그릇  (0) 2016.11.16
인도에서 온 엽서  (0) 2014.11.27
단추 귀걸이를 만들다  (0) 2012.12.12
꿈(Dream)에 대하여  (0) 2012.12.11
뮤지션 양방언에게 매료되다  (0) 2012.11.23

 

이것은 서른, 긍정미의 여행기다.

이미 일 년이나 지나버린, 그래서 갸우뚱 할 수도 있지만 해야만 하는 이야기.

발효 되기까지 무려 1년이나 걸린 여행기(라고 말하는 건 내 게으름에 대한 핑계에 불과하다).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면 좋겠지만, 어쨌든 시작은 순전히 날 위한 글이 될 거다.

 

직장을 때려치고, 퇴직금으로 여행을 계획했다. 처음엔 터키에 가고 싶었다. 계기는 간단했다. 대학로 김밥집에서 신문 한 장을 발견했다. 모 신문사의 '주말 섹션' 판, 여행 지면에 실려 있던 내용이었다. 스머프가 탄생하게 된 배경지이기도 하고, 스타워즈가 촬영되기도 했다는 곳. 터키 괴뢰메. 거기에 가고 싶었다. 열기구도 타고, 삐죽빼죽 괴기하게 솟은 암석들도 보고 싶다. 그렇다, 돌무더기가 보고 싶어 터키에 가고 싶었다.

 

내가 계획한 여행 기간은 한 달. 그리고 오로지 혼자서 하는 여행.

 

터키에서 한 달 정도 보낼 생각을 했는데, 뭔가 아쉬웠다. 그래서 그리스를 생각해냈다. 그래서 일단 '그리스 in''터키 out'으로 티켓을 예매했다. 아부다비 항공으로 경유해 떠나는 코스. 항공권은 100만원 정도. 나름, 득템이었다.

 

그리스, 그리고 터키.

이렇게 한 달을 생각했다. 그런데, 뭔가 또 아쉬웠다. 그리스와 동유럽이 이렇게 가까이나 있다니. 부다페스트가 떠올랐다. <글루미 선데이>의 배경지. 그냥 무작정 가고 싶었다. 영화를 좋아하기에. 그래서 헝가리를 넣었더니, 그 옆에 있는 체코, 오스트리아가 자꾸 밟혔다. 그래서 넣어 버렸다. 그렇게 '판'이 커졌다.

 

그리스, 헝가리, 체코, 오스트리아, 터키.

무려 5개국이나 여행하기로 마음 먹었다. 배짱 두둑했다. 걱정도 됐지만, 내 자신이 미덥기도 했다. 그리고 결론부터 말하자면 '먹고 놀고 쉬면서' 아주 잘, 여행 했다. 무려 살이 붙어 돌아왔으니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여자 혼자서 괜찮겠어?" 이건 주로 남성분들 걱정.

 

"영어도 잘 못하잖아. 괜찮니?" 이건 나 혼자서 지레 겁먹고 하는 말.

 

그래도 이번 기회가 아니면 못 갈 것 같았다. 이미 티켓을 끊었고, 가기만 하면 된다. 가장 어려웠던 건 코스를 짜고, 어디에 묵을지 숙소를 정하는 거였다. 지금 같으면 그냥 가서 구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첫 유럽 여행' 아니던가. 더군다나 영어도 '짧지' 않나.

 

대략, 한 도시에 몇일을 머물지 정해야 했다. 도시와 도시 간에 이동하는 열차 및 페리를 예매하는 것도 미리 해야만 했다. 비용도 훨씬 저렴했고, 빈 자리가 있을 지도 의문이었기 때문에. 여행 카페를 들락날락하며, 휴식 기간 대부분을 여행을 계획하는 데 쏟았다.

 

그렇게 여행 노트가 탄생했다.

여행지에서 만난 친구들 중 몇명은 이 노트를 찍어가기도 했다. 이렇게 준비한 사람은 처음 본다며. 나도 내가 이렇게 준비성 철저한 인간인지 처음 알았다. 여행 초반엔 요긴했다. 그러나 후반으로 갈수록 거들떠 보지도 않게 됐다. 그래도 숙소나 이동수단(열차 번호 같은 것들)을 상세히 적어둔 건 확실히 도움이 됐다. 그러나 아무래도 나중에 또 여행을 하게 된다면 이렇게 꼼꼼히 준비하지는 않을 것 같다. 여행책 한 권이면 해결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됐으니까. 그러고 보면, 지금 아니면 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 '처음' 이라는 것은 무한대의 설렘을 안겨주는데 어설퍼도 지나고나면 빛나는 순간, 그게 바로 '첫 경험'이다. 지금은 마구 찢어지고 너덜너덜해져서 어딘가에 쳐박힌 여행 노트. 긍정미의 역사 한 페이지를 장식한 녀석. 언젠가 짐을 뒤적일 때, '짠' 하고 나타나 잊혀진 기억들을 끄집어낼 것이다.

 

언제 완성될지 모르는, 갑자기 '삘' 받으니 써보는 긍정미의 여행기.

 

자, 시작.

 

 

* 이 글은 언제고 여러번 바뀔 것이다.

 

 

 

 

 

 

 

 

 

벌써 올해 초의 일이다.

 

푸른책들에서 주최하는

'푸른문학상' 청소년소설 부문에서 새로운 작가상을 받았다.

'새로운 작가'라는 어감이 참 좋다.

 

 

동화 버전으로 썼던 <스키니진 길들이기>를 청소년으로 연령대를 높여 수정했다.

그랬더니 글에 더욱 생기가 붙었다.

퇴고하는 내내 정말 즐거웠다.

 

그 기운이 닿아서였을까,

고맙게도 심사위원님들 대부분이 좋은 평을 해주셨다.

 

시상식은 하반기 공모전 수상자들과 함께 

10월 22일 수요일에 열렸다.

(푸른문학상은 상, 하반기에 나눠 공모전을 진행한다.)

 

1월 말이었나? 수상 소식을 듣고

3월 중순경에 책도 발간되었으니

개인적으로는 꽤나 시간이 흐른 후 시상식을 한 셈이다.

그래서 약간은 무덤덤했는데 웬걸, 시상대에 올라가는 순간 긴장되더라.

 

시상식이 내게 자극을 줬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잊혀진, 작가가 되고 싶지는 않았다.

그래서 새로 구상하고 있는 이야기를 결론 짓겠다 마음 먹었고.

그로부터 2주일 정도가 걸려 장편동화를 완성했다.

(물론, 마음 속에서 숱하게 발효된 이야기들이다.)

 

푸른문학상,

나에게 의미 있는 상이다.

청소년소설로는 처음으로 받는 상이니 말이다.

 

어린이동산 중편동화, 전북일보 동화부문 수상에 이어 세번 째 상.

물밀 듯이 밀려들어 정신 못차릴 것 같았던 지난해, 그리고 올해 초.

부디 나에게 있는 모든 '운'이 쓰인 것은 아니기를.

단순한 행운이 아니려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지금에 안주하지 않고

쓰고, 또 써야지.

건투를 빈다, 긍정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