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작가 김정미의 창작놀이터

 

 

대학교를 졸업하면서 가슴에 품은 꿈은 네 가지였다.

동화작가, 기자, 영화홍보마케터,  출판 에디터.

 

어릴 적 동화책을 많이 읽은 것도 아닌데 나는 왜 하필 동화작가를 하고 싶었을까. 조금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당시 사귀었던 남자친구가 나의 글을 보고 동화작가가 잘 어울릴 것 같다고 말해서 그런 꿈을 품은 것도 같다.(그도 글을 잘 쓰는 사람이었다. 헤어진지 오래 됐지만, 내가 동화작가가 된다면 누구보다 기뻐해줄 사람이다. 그리 믿는다.) 그리고 과거로 올라가자면, 어릴 적 나는 글 쓰는 걸 좋아하는 아이였다. 밝고 명랑했지만 자주 외로운 아이였는데, 그 시절의 나를 생각하면 따뜻하게 안아주고 싶다. 그래서 나랑 비슷한 외로운 아이들을 위로해주고 싶다고 생각했고, 동화작가라면 가능할 거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기자는 고등학교 때부터 품어왔던 꿈이었다. 정확히는 '영화잡지사 기자'가 되고 싶었다. 매학년 진로조사를 할 때마다 그냥 '기자'가 아닌 '영화잡지사 기자'라고 좁은 칸에 눌러쓰곤 했다. 그 시절 <스크린>이라는 월간영화잡지의 구입해 읽곤 했는데, 막연히 그 잡지사에서 일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시네21은 제주도 중에서도 아주 시골인 우리 마을 서점까지는 들어오지 않았다.)

 

대학에 입학한 후에는 '영화' 보다는 '진보 언론' 쪽으로 마음이 쏠렸다. 의식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관심이 넓어졌다. 그리고 졸업 무렵, 모 매체의 대학생 인턴기자로 짧게 활동하면서 스스로 기자가 될 깜냥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기자로 살기에 나는 냉철하지 못했고, 우유부단했으니까. 그리고 모질지 못했다. 그건 지금도 마찬가지다.

 

그 다음에 시작한 일이 '영화홍보마케터'였다. 영화를 굉장히 좋아하는 나에게 무척 재밌고 즐거운 일이었다. 그러나 일할수록 나와는 어울리지 않는 화려한 세계라는 것을 깨달았다.  영화판은 굉장히 상업적이고도 자본적인 논리로 돌아고 있었다. 자본을 움켜쥐고 있는 제작사, 그 아래로 수많은 홍보사가 줄을 서고 있었다. 홍보마케터들은 취향에 맞는 영화를 홍보하는 것이 아닌, 주어진 영화를 홍보해야만 했다. 먹고 살기 위해서 그래야했다. 겉으로 보기엔 화려했지만 그 안은 궁핍했다. 만약 내가 허영심이 많은 사람이었다면, 오래오래 일했을 것이다. 허영심을 채워주기엔 충분한 세계였으니까. 그러나 그 즈음, 집안에 큰 일이 생겨 제주도로 내려가며 일을 관뒀다. 그리고 다시는 돌아가지 않았다.

 

언제부턴가는 책이 좋아 출판 에디터를 하고 싶었다. 출판인을 양성하는 교육프로그램에 지원했다가 필기시험에서 떨어졌다. 누군가는 재도전을 했지만, 나는 그러지 않았다. 어쩌면 책을 좋아하는 것과 출판사에서 일하는 것은 별개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마 내가 출판사에서 일을 했다면 난 작가들이 몹시 부러워 미쳤을 것이다. '나는 왜 작가가 되지 못하는가'라는 자괴감에 괴로웠을 것이다. 그런 생각을 하니 차라리 발을 담그지 않고 오래 오래 책을 좋아하는 독자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사랑하고 향유하고, 가까이 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이니까. 나는 '고급 독자'의 길을 택하기로 한 거다.

 

그리고 지금, 내게 남은 하나의 꿈이 바로 <동화작가>다. 꿈을 이루기 위해 서른을 일 년 앞둔 올해 초부터 수업을 받기 시작했다. 사실 동화공부를 시작한 곳을, 대학 졸업하면서 찾아갔던 적이 있다. 선생님을 만나 등록절차를 알아보기도 했다. 만약 그때 등록해서 수업을 받았더라면 나는 지금 동화작가가 되어 있었을까? 누군가는 우스갯소리로 "이미 되어 있었을텐데"라고 했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치기 어린 그 시절, 어쩌면 동화를 쓰다 쉽게 지쳐버렸을지도 모를 일이다. 지금보다 부족한 경험들을 움켜쥐고 어찌할지 몰라 전전긍긍했을지도 모른다. 가보지 않은 길이므로 후회도 없고 가정법도 어울리지 않는다.

 

동화 공부를 한 지 1년이 채 되지 않았다. 단편이라고 써본 것도 열 편이 되지 않는다. 걸음마를 갓 뗀 수준이지만, 분명한 건 동화를 쓸 때면 행복하다는 것이다. 신나고 재밌다. 두둑두둑두둑 키보드를 두드리며 내 안의 이야기들을 쏟아내는 게 즐겁다. 완성품은 보잘 것 없을지라도(...) 어쩌면 나는 내가 위로받기 위해 동화를 쓰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

 

내 안의 모든 걸 게워낸 후에, 그때야 비로소 아이들을 위로할 수 있는 '진정한 동화'가 나올 거라고 그리 믿는다. 그렇게 믿지 않으면 나는 쉽게 지칠 것 같다. 지금 나는 심심해서 동화를 쓰고 있는 게 아니니까. 그렇기에 나아지고 싶은 거다.

 

서른을 앞두고, 내 인생을 곰곰 반추해본다. 결과는 '흡족'이다. 평탄하거나 유복하거나 화려한 삶은 아니었지만, 온전히 내 힘으로 살아나가고 버텨왔다. 그리고 나 인생을 제법 즐겁게 살 줄 아는 사람인 것 같다. 지금까지 걸어온 길이 후회스럽지 않고, 앞으로 걸어갈 길이 두렵지 않다. 행복하다. 그럼 된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