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작가 김정미의 창작놀이터

 

 

# 이것이, 건강한 밥상

 

한살림에서 잡지를 만드는 SJ 언니네 집에 갔더니, 이렇게 한 가득 상을 차려줬다.

 

작년 겨울, 반 지하 미아동 방에서 함께 몇 개월을 보냈던 나의 '룸메'.

이런저런 소소한 대화들을 통해 마음을 나눈 언니와 나. 올해 3월, 갑작스레 대구로 내려가면서 내가 살던 자취집에 언니가 남아있게 됐다. 세탁기, 냉장고 같은 물건들을 다 빼버리는 바람에 아무것도 없이 혼자 살았다. SJ 언니에게 얼마나 미안하던지. 그런데도 잘 버티어 주었다. 그리고 얼마 전에 망원동 다세대 주택에 전세로 들어갔다. 요즘 나는 서울에만 가면 언니네서 머물고 있다.

 

언니가 살고 있는 집에는 옥탑이 딸려 있는데 그 곳을 페인트칠 한다고 했다. 도와주러 갔는데 언니가 고생한다며 밥을 차려줬다. 치과의사 NH 언니도 함께 있었다. 우리 세사람이 먹을 밥상이 이렇게 차려졌다.  언니가 한살림 장터에서 구입한 건강한 재료로 이렇게 상을 차려줬다. 망원동 시장에서 샀다는 '땡감'도 자리를 잡았다. 언니가 만드는 잡지를 넣어 사진을 찍었더니 화보가 따로 없다.

 

 

 

# 우리의 인연은,

 

우리는 '프레시안 글쓰기' 모임에서 만났다. 언론사 프레시안에서 다양한 강의를 했는데, 그중 <나를 위한 글쓰기>라는 강좌를 들었다. 강사는 이문재 시인님이셨다. 서너 해 전의 일이다. 음, 아마 2011년도의 일인 듯 싶다.

 

강의에는 다양한 분들이 오셨다. 재래시장에서 두부를 만드는 분, 119 소방대원, 대학생, 대학원생, 고등학생, 주부, 화가 등등. 우린 꽤나 '합'이 좋았다. 그때 SJ 언니는 한살림에서 잡지를 만들고 있었고, NH 언니는 치과의대생이었고, 나는 모 협회에서 신문을 만들고 있었다. 시간이 흐른 후, 여전한 건 SJ 언니. NH 언니는 치과의사가 됐고, 나는 대구에 내려왔다. 아참, 뭔가 '되었다'는 걸 기준으로 삼자면, 그래, 작가가 되었다.

 

함께 글쓰기를 들었던 사람들은 지금도 종종 만나고 있다. 처음엔 일 년에 서너 차례 만나던 게 일 년에 한 번 꼴로 줄었다. 그런데도 만나면 반갑고 참 좋았다. 나는 작년 겨울 모임에 참석하고 못 갔다. 얼마 전에 우리의 스승님 이문재 시인님이 신간 시집을 펴내서 '독자와의 만남' 행사를 했는데, 그때 '번개'를 했다. 하지만 나는 대구에 있어 못 갔다.(정확히는 서울에 올라갔지만 일이 바빴다.) 사진을 보는데 참 좋아보이더라. 이문재 시인님의 꾸밈없는 진솔한 태도(그러면서도 거들막거리지 않는)를 알기에 절로 미소가 지어졌다. 참 좋으신 분이다.

 

# 프레시안 글쓰기 수업, 그리고

 

수업 첫 날, 자기가 쓴 작품 중 뭐든 하나를 들고 오라 하셨다. 나는 '뭐를 들고 갈까' 하다, 아버지가 간암으로 돌아가실 적에 느꼈던 감정이 적힌 에세이를 들고 갔다. 사실, 뭐 하나 변변하게 써둔 게 없었다. 수업 시간, 선생님이 내 글에 대한 느낌을 이야기하기 전, 대뜸 "소설 써본 적 없냐? 없으면 당장 써라" 라고 말씀하셨다. 그때 감정이 잊히지 않는다. 마음속에 뭉클한 뜨거운 게 치솟는 기분. 그 감정이 지금까지 날 끌고 왔다.

 

사실, 내가 이 수업을 택한 이유는 따로 있었다. 나에게 작가로서의 싹이 있는지 확인하고 싶었던 거다. 이 수업을 받기 전, '영화 평론 수업'을 들었는데, 손톱만큼의 싹도 없다는 걸 알게 됐다. 그래서 중간에 하차했다. 나는 그냥 '고급 독자'로 남아야겠구나, 싶었다. '고급'이 아니면 '저급'이어도 되니 그냥 '보통의 독자'가 되어야겠구나, 했다. 그리고 이제와서 하는 말인데 '평론'이라는 게 굉장히 철학적이고 사유가 깊어야 한단 것을 깨달았다. 모든 창작이 그러하겠지만, 평론은 좀 다르다. 자신만의 철학과 사회에 대한 깊은 통찰로 '정의'를 내려야 한다. 작품을 평해야 한다. 그게 조금은 폭력적으로 느껴졌고, 자신이 없어졌다.

 

20대 중반, 사회초년생으로 발을 내딛으며 '동화'를 쓰고 싶단 생각을 했다. 그러다 잊혀졌다. 그런데 또 생각이 났다. 그래서 이 수업을 들으며 확인하고 싶었다. 커리큘럼이 빽빽한 부담스런 수업이 아니었기에 가벼운 마음으로 수강 신청했다. 그리고 시인님께 소설을 써보란 이야기를 들었다. 나에게 싹이 있는 것 같아 기뻤다. 그래서 이후로 작가의 꿈을 꾸게 됐다. 그렇게 나는 작가가 됐다.

 

인생을 오래 산 것은 아니지만 돌이켜보면 인생의 '터닝 포인트'가 되는 순간들이 있어왔던 것 같다. 그런데 그땐 몰랐다. 알고 싶어 발버둥을 쳤는데, 그런데도 몰랐다. 오히려 그땐 힘들었던 일이 지나고 나니 '전화위복'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하나의 감정에 압도 당하면 누가 뭐래도 잘 안 들리고 어떤 생각도 나지 않는 법이다. 그래서 지나고 나야 아는 것이다.

 

젊을 적부터 늘 궁금했다. '어떻게 하면 꿈에 가까워질 수 있지?' 이런 고민을 하다, 멘토가 있었으면 했다. 언젠가부터 세상을 떠들썩하게 흔들었던 '멘토'. 모두들 젊은이들에게 멘토를 만들라 하였는데, 내겐 멘토가 없었다. 그게 좀 부끄럽고 서글펐다. 그런데 지나고보니 멘토란 거창한 사람이 아니었다. 주변에서 늘 나를 지켜봤다가 코치하고 가르쳐주는 사람이 아니었다. 내가 만나는 한 사람, 한 사람이 내겐 멘토였다(아닌 경우도 있었지만).

 

밥상 이야기를 하려다 말이 길어졌다. 나의 글쓰기는 대부분 그러하다. 이런 글쓰기 역시 '나를 위한 글쓰기' '힐링 글쓰기'가 아닐까 한다. 비우고 나니, 오전이 가볍다.

 

 

 

 

 

 

'꿀잼라이프 > 재잘재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0원의 행복, 국수 한그릇  (0) 2016.11.16
인도에서 온 엽서  (0) 2014.11.27
단추 귀걸이를 만들다  (0) 2012.12.12
꿈(Dream)에 대하여  (0) 2012.12.11
뮤지션 양방언에게 매료되다  (0) 2012.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