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작가 김정미의 창작놀이터


나의 그리스식 웨딩

(My Big Fat Greek Wedding, 2002)

 

감독: 조엘즈윅

주연: 니아바르달로스, 존 코베트

제작: 캐나다, 미국
 

 예전부터 꼭 보고싶은 영화 목록에 기록해왔던 이 영화를 이제야 봤다. 내가 알고 있기론(적어도 각종 영화프로그램이나 영화잡지에서 본 것으로는) 노처녀인 뚱뚱한 그리스인 여자가 어렵사리 결혼에 성공하는, 그러니까 이를테면 외모지상주의를 꼬집는 '패니미즘 영화'라 생각했다. 그런데 '패미니즘'류의 영화는 아니라는 결론이다. 가벼운 로맨틱 코미디 정도라고나 할까.


 민족(고향)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고 다른 민족에게 경계심이 강한 그리스인 가문의 딸 '툴라'는 가부장적인 아버지의 태도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부모님이 운영하는 '댄싱 조르바'에서 서빙을 하며(본인은 예약체크담당이라고는 하지만) 일을 돕는 그녀는 두꺼운 뿔테안경에 산발머리를 한 노처녀로 매력이라곤 찾아볼 수 없다. 그런 그녀가 어느날 대학에 가서 공부를 하겠다고 선언한다. 대학공부를 시작하면서 자신을 발견한 그녀는 점차 외모에도 신경을 쓰고 자신의 삶에 긍정적인 생각을 갖는다. 그러다 미국인 남자와 사랑에 빠지고 아버지의 반대에도 무릎쓰고 결혼을 감행한다-는 것이 이 영화의 줄거리다. 

 강압적이지만 인간미넘치고 때론 어머니에게 쩔쩔매는 툴라의 아버지, 순종적인 듯 보이지만 중요한 사안에 있어서는 강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어머니, 망나니 같지만 중요할 때 툴라에게 응원의 말을 건네는 남동생 등등. 이 영화의 캐릭터는 한껏 무거울 수 있는 영화를 가볍게 끌고 가는 데 독톡한 역할을 한다.

 "그리스인은 그리스인과 결혼해야 한다"는 생각의 아버지를 꺽고 미국인과 결혼을 하려는 툴라는 남자친구의 부모님, 즉 미국인의 정서를 이해하는 데도 서툴다. 그것은 남자친구 역시 마찬가지다. '그리스 식'으로 결혼해야 한다는 툴라의 아버지의 의견을 받아드리며 그는 새로운 문화와 마주하고 그것을 진정으로 즐기는 태도를 보인다.  

  서로 다른 문화가 '결혼'이란 과정을 통해 하나되는 과정은 '사랑'이 '전쟁'보다도 더 강한 것이라는 것을 느끼게 한다. 타 민족에게 억업받았던 과거로 타민족에 대한 저항심이 강한 그리스인 가정이 미국인 사위를 받아드리고 전통 미국의 명문가 역시 그리스인 며느리를 받아드린다. 그렇게 하나 될 수 없을 것 같던 두 나라의 문화는 '사랑'과 '결혼'을 통해 비로소 하나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