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작가 김정미의 창작놀이터

 

두번째 사랑 (never forever)

(김진아 감독/베라 파미가, 하정우)

 

 

 

  이 영화의 원제는  'never forever'다. 해석을 하자면 "영원한 것은 절대 없다" 정도 일텐데, 해석이 무미건조하고 딱딱해서인지 한국어판에는 '두번째 사랑'으로 제목을 달리했다.

외국에서 영화공부를 했다는 '김진아 감독'이 제작한 이 영화는 외국에서 모든 촬영을 마쳤다. 여주인공 역시 외국인으로 한국영화에서는 전례가 드믄 케이스다. 참고로 여주인공 '베라 파미가'는(난 왜 이 부분에서 자꾸 '개미 퍼먹어'가 생각날까?^^;) 영화 '디파티드'에서 여주인공으로 나왔던 여자다.(역시 이쁘구나...쩝)


  이 영화의 주된 내용은 아이를 애타게 원하는 여주인공 소피가 남편과 같은 국적의 불법체류 한국인 지하를 통해 정자를 제공받고 아이를 얻는다는 내용이다. 불법체류자인 지하는 ‘차이나타운’에서 닥치는 대로 일을 하며 살아가는 젊은이로 여자친구를 외국으로 데리고 와 함께 살기 위해 돈이 필요하다. ‘불임클리닉’에 한 회에 5달러씩 정자를 팔기 위해 신청하지만 불법체류자라는 이유로 그마저도 거절당하고 그는 결국 한 회당 300달러를 준다는 소피의 달콤한 제안을 받아드리고 만다. 결국 소피는 임신이 되고 둘 사이의 ‘비지니스 적’인 만남은 ‘사랑’의 단계로 발전한다. 임신을 한 뒤에도 틈틈이 만나 사랑을 나누는 두 사람. 서로를 사랑하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그 둘은 혼란스러워 한다. 그래도 몸과 마음이 이끄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노릇이다. 이 둘의 관계를 알게 된 남편은 소피에게 아이를 지우라고 한다. 하지만 소피는 힘들게 얻은 아이를 포기할 수 없다. 그래서 남편을 떠난다. 마지막 장면에서 소피는 어린 아들과 함께 만삭인 몸을 이끌고 지하의 방에 걸려있던 바다 풍경 앞에 서있다. 소피가 남편을 떠나 지하를 만나 행복하게 살고 있는지 아니면 또 다른 남자를 만났는지 아니면 남편과 살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소피는 아이를 포기하지 않았고 또 다른 아이를 임신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대략 내용은 이러하고, 이 영화를 통해 내가 느낀 점은 두 가지다.

첫째는 ‘왜 이토록 사람들은 혈연에 대해 강한 집착을 보일까’하는 의문과 둘째는 이 사회에 만연하고 있는 ‘불임 부부의 슬픔’ 따위의 것들이다. 첫째의 경우, 우리나라에 만연하고 있는 ‘핏줄’에 대한 강한 집착과 연관될 수 있다. 왜 하필 ‘나와 같은 피가 섞인 아이’여야만 하는가. 불임부부를 위해 ‘입양’이라는 제도도 있지 않은가. ‘핏줄’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 ‘정자를 사고파는’ 비정상적인 관계까지 형성하게끔 한 것이 아닐까. 사랑의 결실로 이뤄지는 ‘임신’의 과정에 경제적 논리가 개입될 때 정자와 난자의 만남은 ‘미학적 행위’가 아닌 ‘기계적 행위’로 인식된다. 몸속에서 피를 뽑듯, 정자를 뽑아 난자와 결합시키면 되는 일이다. 사랑의 감정도, 흥분도 배재된 채 그저 일정한 피스톤 운동만을 할 뿐이다. 사랑의 결실인 ‘임신’과 ‘출산’이 ‘아이’를 얻기 위한 기계적 행위로만 인식될 때, 섹스는 무미건조하고 다분히 비인간적이다. 사람들은 오늘도 그저 똑같은 ‘운동’을 하고 있을 뿐이니. 어찌됐든, 혈연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 수단과 목적을 상실한 채로 표류하고 있는 한, 이러한 문제는 계속되지 않을까. ‘가족’이 혈연으로 이뤄진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다양한 담론을 형성할 수 있을 때 좀 더 유연하고 넓은 사고방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둘째는 사회문제가 돼버린 ‘불임부부’에 대한 단상. 이 땅의 많은 부부들 중에 불임으로 고생하고 있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다고 한다. 예전에 잡지를 통해 읽었었는데 정확한 통계는 기억이 나지 않으나 예상했던 것 이상의 통계여서 깜짝 놀랐던 기억이 있다. 달라진 식습관, 패스트푸드의 남용, 환경호르몬의 증가로 인해 우리 몸은 점차 변화하고 있다. 음식, 캔, 플라스틱 등 입을 통해 들어오는 무수한 환경호르몬 입자들은 우리 몸의 정자를 기형으로 변형시키고 자궁벽을 허물어뜨리고 있다. 그리하여 환경호르몬에 노출된 정자와 난자는 서로를 애타게 원하여도 힘이 없어 만날 수 없고 팔 다리가 없어 서로를 끌어안을 수 없다. 이 얼마나 비극인가. 현대사회의 가장 큰 비극은 ‘불임’이 아닐까 한다.

어찌됐든 이 두 가지 문제에 대해 깊은 고민과 함께 ‘결혼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또 한번 하게 됐다. 결혼을 한 이들은 “해도 후회, 안 해도 후회”라는 말을 곧잘 하는데 겪어본 적 없는 나지만, 그 말에 대략 공감을 느끼는 요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