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와벌
죄와벌
(도스토예프스키 작품)
2007년 9월28일
'다민족축제'가 열리던 당일 러시아부스에서 O,X퀴즈 3문제 이상을 맞춰서 얻은 상품. '논슬프로그램세계명작'이란다. 그림이 그려져있고 글씨도 크고 읽기 편할 것 같아 골랐다.
역시나 한시간 반 정도 걸려서 후딱 읽을 수 있었다. 편하고 쉽게 읽히긴 했으나 "원래는 책이 굉장히 두껍다"는 선배 말을 들으니 두꺼운 책을 읽을 것 그랬나 하는 후회가 밀려온다.
그러나 작품의 느낌이나 감흥은 충분히 전달된다. 물론 이 책이 원래 '죄와벌'작품의 '학예회' 수준이긴 하지만 말이다.(ㅋㅋ선배말에 따르면 그렇단 거지).
이 책을 읽는 내내 일본 영화 '데스노트'가 생각났다. 데스노트에서 사신의 힘을 얻은 주인공은 "세상에 불필요한 인간들을 없애는 것은 악이 아니라 오히려 선"이라고 주장한다. 남에게 해를 끼치고 불쌍한 이들을 착취하며 선량한 이웃을 살해하는 '사회악'인 존재들을 하나 둘 씩 없애고 그는 결국 '21세기 판 영웅'으로 등극한다.
나폴레옹이나 홍길동 처럼 어려운 이웃을 위해 많이 가진 이들을 혼내주고 때로는 죽이기까지 하는 사람들을 우리는 '영웅'이라 생각해왔다.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보면 관점은 처한 입장마다 다르게 변할 수 있는 법. 과연 피해자의 입장에서도 그들은 영웅일 수 있을까. 그리고 '악'이라는 것이 다른 이에게 해를 끼치는 것이라면 '선'을 위한다는 명목하에 이뤄지는 '악'은 과연 '선'이 될 수 있을까. 책을 읽는 내내 '선과 악'으로 나눠지는 이분적 사고방식에 대해 끊임없이 의문을 갖게 됐다. 그리고 과연 간단하게 나눌 수 있는 문제인가, 라는 생각과 우리가 보고 판단하는 것이 '선과 악'으로 나눌 수 있는 전부는 아니구나, 라는 깨달음 역시 얻게 됐다.
이 책의 주인공인 라스콜리니코프는 고리대금을 통해 가난한 이들을 착취하고 괴롭히는 늙은 노파를 살해한다. 그 이유는 노파가 살 가치가 없는 사람이기 때문이고 어려운 이들을 착취해 번 돈으로 가난한 이들을 도울 수 있을거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가 쓴 논문에서 알 수 있듯, 그는 '초인이 그 힘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누군가를 살해하는 행위는 반드시 필요한 용서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전당포 노파를 살해하는 일을 저지른다. 하지만 그는 초인이 아니다. 평범한 사람이다. 그래서였을까, 마음 속으로는 한없이 '나는 괜찮아', '내가 한 일은 잘 한 일이야' 생각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심한 굴욕감과 죄책감, 수치심을 느끼며 정신적인 황폐감과 우울증세까지 얻게된다.
죄를 자백해 투옥된 그 순간에도 그는 자신이 저지른 일은 나쁜 일이 아니며 약한 마음을 가졌던 자신의 나약함이 문제라고 생각한다. 마땅히 죽어야 할 사람을 죽인 것은 '죄'가 아니라는 그의 생각은 변함이 없다. 하지만 그는 '소냐'의 한없이 깊은 사랑을 통해 자신을 되돌아 보고 하느님의 가르침을 느낀다. 그리고 그 후에 옥에서 나온 후, 라스콜리니코프가 어떻게 됐을지는...아무도 모른다.
우리가 바라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결코 '사실'도 아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잣대로 인해 우린 '선과 악'을 가늠하고 구분짓는다. 하지만 선과악이 '흑백'처럼 구분지을 수 있는 일일까 과연? 흑과 백 사이의 무수한 회색들의 외침을 알고 있다면 선과 악 사이의 갈팡질팡하는 무수한 감정들을 외면할 순 없을 것이다. 그렇기에 사람이란 파악하기 힘든 대상이며 사람의 행동거지 하나하나 또한 '선악'의 구도로 결론짓기 힘들다. '선악'을 과연 어떻게 받아드려야 할까. 중요한 것은 사람이 사람을 평가하고 사람이 사람에게 죄를 내리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의 주인공의 죄역시 벌을 받아 마땅한 것이다.
'문화인 > 보고 읽은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마른 사막을 따스하게 '자스민 효과' <바그다드카페> (0) | 2011.11.14 |
---|---|
두번째 사랑 (0) | 2011.11.14 |
[나는 날개를 달아줄 수가 없다] 소설가 김지우를 아시나요? (2) | 2011.11.14 |
<완득이> 완득이가 훌륭한 복서가 되지 않아 다행이다 (0) | 2011.11.14 |
<오늘> 이창동 감독의 <밀양>과 닮은꼴 영화 (4) | 2011.11.14 |